코딩/HTML

[HTML] HTML 활용 문제들

peter_00 2024. 5. 28. 14:49
반응형

1. 웹페이지에 라인을 그리기 위해서는 어떠한 코드를 사용해야 할까 ?

  • canvas, getContext, moveTo, lineTo, stroke
<script>
const canvas = document.getElementById("myCanvas");
const canvas = c.getContext("2d");
ctx.moveTo(0, 0);
ctx.lineTo(200, 100);
ctx.stroke();
</script>

 

2. 가장 알맞는 코드를 선별해서 짝을 맞추시오

  • XML - XSD
  • XSD 는 주로 XML 의 구조나 규칙을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
  • HTML - CSS 
  • CSS 는 주로 HTML 의 디자인적 요소를

3.  id = "y" 가 "<b>123</b>" 를 포함 한다고 가정하고, 위 코드를 실행 할 시 x의 값을 구하시오.

x= document.getElementById ("y").innerHTML

 

x의 값은 <b>123</b>가 된다 왜냐하면, innerHTML 을 사용하면 결과값이 HTML 태그들을 포함 한 상태로 도출된다.

만약 textContent를 사용한다면 123이 나오지만 그냥 .innerHTML 을 사용 할 경우 태그를 포함한 상태로 결과가 나온다.

 

4. XSL 파일은 혼자 실행이 가능한가?

아니다, XSL은 XML 파일의 스타일시트에 불과하기 때문에 자체 실행은 불가능 하다. XSL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XML 파일이 필요로 하다.

 

5. 위 코드를 가장 잘 나타내는 문장은?

<xsl:value-of select="x"/>

<xsl:value-of select="@y"/>

X 는 XML element (요소) 이다.

Y 는 XML attribute (속성) 이다. (@가 있기 때문에)

 

6. XML Declaration 은 필수인가?

1.0 버전에서는 필수는 아니지만 1.1 버전에서는 필수이다.

 

7.

drop event handler 는 html 요소를 드롭 할 때 작동된다.

dragStart event handler 는 html 요소를 드래그하기 시작할 때 작동된다.

dragOver event handler 는 html 요소가 드래그되고 있다면 발생한다.

 

8. X = Math.floor (Math.random()*9)+2 가 실행된다면 나오는 결과값을 구하시오

Math.random()*9 는 0 에서 9까지 숫자 사이의 랜덤값을 구한다

Math.floor(Math.random()*9)는 0부터 8까지의 랜덤값을 구한다.

Math.floor (Math.random()*9)+2를 한다면 2부터 10까지의 랜덤값을 구한다

0 부터 8 까지에서 2칸씩 옮기기 때문

 

9.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언어는?

XML 혹은 JSON 을 이용해서 html의 데이터 전송 가능

 

10. <!ELEMENT hello (x,y,x) 를 만족하는 XML 구조를 고르시오.

Hello 요소가 x y z 라는 3개의 자식요소를 포함해야한다.

<hello>
  <x>1</x>
  <y>2</y>
  <z>3</z>
</hello>

반응형

'코딩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HTML 활용 문제 모음 (2)  (0) 2024.05.29
[HTML] JavaScript 기초  (0) 2024.05.27
[HTML] JSON에 대해 배워보자  (0) 2024.05.24
[HTML] XSD 를 배워보자  (0) 2024.05.12
[HTML] DTD 를 배워보자  (0) 2024.05.12